○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(이하 인총) 결과, 전국의 일반가구*는 17,339,422가구이며,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.67명인 것으로 시현
- 집단가구(20,727가구)**와 외국인가구(213,918가구)를 포함한 전체 가구수는 17,574,067가구임
* 일반가구: 가족,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, 가족이 아닌 5인 이하의 남남, 1인 가구
** 집단가구: 6인 이상 남남, 기숙사 및 사회시설 등
-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가구의 비중은 전국 대비 47.9%로 시현
※ 수도권에 거주하는 인구 비중은 전국 대비 49.1%로 수도권의 평균 가구원수(2.78명)가 다른 광역권*에 비해 많은 것으로 조사
* 수도권(2.78명), 제주권(2.75명)의 평균 가구원수가 많고, 강원권(2.50명), 호남·대경권(2.58명)은 적음

○ 전국의 1인가구는 4,142,165가구로 2005년 인총(3,170,675가구) 대비 30.6% 증가
- 2010년 1인가구는 전국의 일반가구 대비 23.89%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
※ 2005년(19.96%) 대비 3.93%p 증가
- 강원권의 1인가구 비중(27.9%)이 광역권 중 가장 높고, 호남권(26.6%), 충청권(26.5%) 순으로 시현
- 전체 1인가구 중 가구주가 미혼인 경우는 44.5%로 나타났으며, 사별(29.2%), 이혼(13.4%), 기혼(12.9%) 순으로 조사

※ '05년 독거노인(782,708명) → '10년 독거노인(1,066,365명), 연평균 53,731명 증가
- 남성 1인가구 중 독거노인 비중은 11.2%이며, 여성은 38.3%로 시현
- 전체 독거노인 중 남성은 20.3%, 여성은 79.7%로 조사
- 여성 독거노인 비중은 호남권(83.2%), 제주권(82.5%) 등이 가장 많고, 수도권(76.6%), 강원권(78.3%) 등은 상대적으로 적음

- 수도권 내 1인가구 중 가구주 연령이 만 30~49세인 가구는 41.5%, 만 30세 미만 가구는 22.2%로, 1인가구의 과반수 이상이 적극 경제활동참여 연령층인 것으로 확인
- 충청권은 만 30세미만 1인가구의 비중이 24.8%로 다른 광역권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
- 호남권은 독거노인의 비중이 40.0%로 홀로 사는 노인 문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확인
- 대경권은 독거노인 비중이 32.6%로 비교적 높고, 만 30~49세인 가구 비중(28.4%)은 호남권(24.9%), 강원권(26.2%)이어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
- 동남권은 가구주 연령이 만 50~64세인 가구 비중이 24.7%로 다른 광역권에 비해 높은 것으로 시현
- 강원권은 독거노인의 비중(30.7%)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, 전반적으로 전 연령층에 걸쳐 고른 분포를 보임
- 제주권은 호남권에 이어 독거노인 비중(34.1%)이 높고, 만 30세 미만 1인가구 비중(11.3%)은 광역권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
